[어학개론] 문자
본문 바로가기
중국어 창고/임용 중국어

[어학개론] 문자

by 똑똑소매 2021. 11. 18.
728x90
반응형

A. 한자의 성격과 특징

1. 한자의 문자적 성격

  • 문자는 단순히 의미를 전달하는 부호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반드시 어떤 단위와 대응 한다.
  • 한자 = 표의문자, 하나의 한자는 중국어에서 하나의 형태소와 대응한다.
  • 한자 한글자의 발음은 중국어의 음절 하나와 대응한다.
  • 한자 → ‘형태소문자’, ‘형태소-음절 문자’

 

2. 한자의 특징

정방형의 평면구조이다.

글자수가 많다.

구조가 복잡하다.

,,에 근거와 이치가 있다.

한 글자는 하나의 음절, 하나의 형태소를 나타낸다.

초시공성(超時空性)이 있다.

 

 

B. 한자의 구조

1. 한자의 구성요소

(1) 필획(笔画,笔划)

  • ․ 한자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이다. (점,선)
  • ․ 8가지 중요한 필형 : 점(点),횡(横),수(竖),별(撇),날(捺),도(挑/提),구(钩),절(折)
  • ․ 한자는 필획 간의 조합 관계에 따라서 글자 모양이 구별된다. (ex.人,入,八)

(2) 편방,부수,부건

1) 편방

  • ․ 한자의 좌우, 상하, 안팎을 구성하는 요소를 말한다. (합체자의 구성성분)

2) 부수

  • ․ 부수 ⊂ 편방
  • ․ 东汉의 许慎이 《说文解字》에서 9,353개의 한자를 540개의 부수에 의거하여 처음 나누었다.
  • ․ 한자를 분류하거나 사전에서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 단독으로 쓰일 수 있는 편방 : 人(仁),手(提),牛(物),马(驱),水(汉),火(灯)
  •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편방 : (寄), (病), (匣), (癸)

3) 부건

편방을 다시 나눌 수 있는 것, 한자의 가장 작은 구성 형태소 (ex.= + + + )

  • 头 : 상하 구조로 이루어진 한자의 윗부분.‘晨’자는‘日字头’
  • 底 : 상하 구조로 이루어진 한자의 아랫부분.‘墓’자는‘日字底’
  • 旁 : 좌우 구조로 이루어진 한자의 왼쪽부분.‘时’자는‘日字旁’
  • 边 : 좌우 구조로 이루어진 한자의 오른쪽 부분.‘阳’자는‘日字边’
  • 心 : 전체를 둘러싸고 있거나 삼면이 둘러싸인 글자에서 안쪽 부분.‘间’자는 ‘日字心’
  • 框 : 전체를 둘러싸고 있거나 삼면이 둘러싸인 글자에서 바깥 부분.‘国’자는‘大口框’
  • 腰 : 상중하 구조로 이루어진 글자에서 중간 부분.
  • 角 : 모서리 부분.‘赢’자의 좌측 모서리는‘月字角’, 우측 모서리는‘凡字角’

 

2. 합체자의 구조

상하 구조 : ,,,

상중하 구조 : ,,,

좌우 구조 : ,,,

좌중우 구조 : ,,,

완전 포위 구조 : ,,,

반포위 구조 : ,,,

기타 구조 : ,,,

 

3. 한자의 필순

先横后竖 : ,

先撇后捺 : ,

先上后下 : ,

先左后右 : ,

先进后封 : ,

先外后内 : ,

先中后边 : ,

 

 

C. 육서

  • ․ 한나라 이전의 한자를 육서의 틀로 분류,귀납함
  • ․ 육서에 대한 기록 - 《周礼․地官․保氏》:‘육서’명칭 등장
  • 西汉․刘歆《七略》: 육서 6가지 세부항목 열거
  • 东汉․许慎《说文解字․序》: 육서 각 개념과 예 제시→후대 문자학 발전의 기초
  • 宋․王应《困学纪文》: 육서 순서 확립
  • ․ 独体为文, 合体为字 ⇉《说文解字》: 说文 ━ 解字

 

1. 상형

许慎说文解字象形者画成其物随体诘诎日月是也

상형이란 해당 사물을 그려내어 그 모양에 따라 구불구불하게 한 것으로이 그것이다.

实在的事物 图画

외형 전체를 본뜬 것 : ,,,,

외형의 특징적인 일부만 본뜬 것 : ,

관련 사물을 함께 본뜬 것 : ,

 

2. 지사

许慎说文解字指事者视而可识察而见意上下是也

지사란 보아서 알 수 있고 살펴서 뜻을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가 그것이다.

抽象的概念 : 符号

상징적인 기호만 사용한 것 : ,,,,,

상형자에 지시부호를 더한 것 :,,,,,

 

3. 회의

许慎说文解字会意者比类合谊以见指挥武信是也

회의란 비슷한 부류를 나란히 놓아서 뜻을 합하여 그것으로 가리키는 바를 드러내는 것으로가 그것이다.

+

东体会意 : 같은 글자를 두 개 이상 결합 (ex.,,,)

异体会意 : 서로 다른 글자를 두 개 이상 결합 (ex.,,,,,)

变体会意 : 구성 요소의 필획을 생략하거나 첨가시키는 방법으로 글자의 형체를 변화 시켜, 새로운 문자를 구성하는 방식 (ex.=+,=+)

 

4. 형성

  • ․ 许慎《说文解字․序》“形声者,以事为名,取譬相成,江河是也。”
  • 형성이란 가리키는 사물이나 일을 이름으로 삼고 비유를 취하여 서로 한데 이룬 것으로 ‘江’나‘河’가 그것이다.
  • ․ 意+音, 한자의 표현력과 조자능력을 크게 향상시킴
  • ․ 意符(形旁,形符,义符) : 의미 요소, 대부분 해당 글자의 부수 (예외.锦)
  • 声符(声旁,音符) : 발음 요소
  • ․ 省形 : 意符(形旁)의 일부가 省略된 형태로 구성 (ex.晶+生→星,殺+式→弑,高+丁→亭)
  • 省声 : 声符(声旁)의 일부가 省略된 형태로 구성 (ex.火+吹→炊,口+歎→嘆,毛+高→毫)

左形右声 : ,,,

右形左声 : ,,,

: ,,,

形上声 : ,,,

形內声 : ,,,

內形: ,,,

 

5. 전주

许慎说文解字转注者建类一首回意相受考老是也

전주란 부류를 세워 하나의 부수로 하고 같은 뜻으로 서로 받는 것으로 ’,‘가 그것이다.

기존 문자의 운용 意味에 근거, 意味의 확대,변화,유추

(풍류악,즐길랄,좋아할요),(거북귀,틀균),(항복할항,내릴강)

 

6. 가차

许慎说文解字假借者本无其字依声托事今长是也

가차란 본래 해당 글자가 없어 소리에 의존하여 나타내려는 바를 의탁하는 것으로 ’,‘이 그것이다.

기존 문자의 운용 소리(字音)에 근거

,,,... 두 의미간의 혼동 발생

 

D. 한자의 변화와 변천

1. 갑골문(甲骨文)

  • ․ 시기 - B.C14C~11C, 은나라 후기까지 통용
  • ․ 명칭 - 거북이 껍데기, 짐승의 넓적다리 뼈 - 귀갑수골문자→갑골문
  • 귀갑문자, 골각문자, 귀판문, 계문, 서계, 복사, 점복문자
  • ․ 발견 - 1899년 당시 주민들이 용뼈로 오인하여 한약재료로 사용하던 것
  • 왕의영, 유악 학자에 의해 대량 발굴
  • ․ 내용 - 은대의 점치는 풍습에서 유래, 점친 내용을 기록
  • ․ 특징 - 가장 오래된 문자체계, 상형성과 회화성이 강함, 필획이 가늘고 직선적

 

2. 금문(金文)

  • ․ 시기 - 하은주(서주)시기에 사용
  • ․ 명칭 - 청동기(吉한 금속)에 주조 : 길금문, 종정문, 명문
  • ․ 용도 - 제후,장군들이 공을 세웠을 때 천자가 정 하사, 안에 공훈 기록 → 문자 연구 자료
  • ․ 특징 - 필획이 갑골문에 비해 둥글고 굵음, 자형이 더 정형화 됨

 

3. 대전(大篆)

  • ․ 시기 - 춘추전국시대(진)
  • ․ 명칭 - 주문 : 서주시기 말엽 ‘주’라는 사관이 이 글자를 만들었다는 설

 

4. 소전(小篆): 진나라 통일 문자

  • ․ 시기 - 진 통일 이후 공문 수행에 어려움 느껴 진시황이 六國의 고문(전국시기의 각각 문자 형태)폐지하고 소전으로 문자통일 단행 (제상이었던 이사 주도)
  • ․ 명칭 - 진전
  • ․ 특징 - 상형성 감소, 서사방법 고정, 편방 통일, 설문해자의 표제자

 

5. 예서(隶书): 한나라 통일 문자

  • ․ 시기 - 소전 만들어지고 얼마 지나지 않아 유행, 해서 나올때까지 대표적 한자 자체
  • ․ 명칭 - 隶 : 노예관리하던 하급관리들이 사용, 한무제 때 편리성 인정 공식 문자
  • ․ 특징 - 소전→예서의 변화“예변”- 고문자→금문자

방형화(네모 반듯), 선조화(직선형태)

* 초서(草书) : 예서의 흘림체

 

 

6. 해서(楷书)

  • ․ 시기 - 동한 후기에 출현 → 위진남북조시기에 공식문자
  • ․ 명칭 - 楷 : 모범적, 표준적
  • 진서(正书),정서(真书)
  • ․ 특징 : 예서에서 쓰기 어려운 부분을 쓰기 쉽게 고치고 직선화, 정방형

목판인쇄에 필획이 둥근 예서보다 직선적이고 정방형인 해서가 적합했음

* 행서(行书) : 해서의 흘림체

 

 

E. 중국의 문자 개혁

1. 문자 개혁의 방향

보통화의 보급운동

한자의 간화 운동 - 필획 간소화 간화자 사용, 이체자 정리

한자의 표음문자화

 

2. 간화자

(1) 간화자의 제정

  • 1935년 교육부 <제일비간체자표>발표
  • 1954년 문자개혁위원회 <한자간화방안초안>
  • 1956년 국무원 < 한자간화방안> 정식 공포
  • 1964년 문자개혁위원회 <간화자총표> 공포

 

(2) 간화의 방법

한자의 일부분만을 취함(생략법) - ()

간단한 부호나 편방을 써서 복잡한 편방을 대신함(부호법) - ()

획수가 적은 동음자로 대체함(가차법) - ()

회의의 방법으로 새 글자를 만든 경우(회의법) - ()

형성의 방법을 사용한 경우(형성법) ()

윤곽을 따오거나 초서체를 해서화한 경우 - ()

고체자를 택한 경우 - ()

 

(3) 간화자와 번체자의 대응 관계

11 대응(대다수) - :, :

1대응(100여개) - :/, :/

 

3. 이체자의 정리

(1) 이체자의 유형

간화 -

성부나 형부가 변하는 경우 -

각기 다른 방식을 써서 한자를 만든 경우 -

편방의 위치가 임의로 이동하는 경우 -

필획이 증감하거나 자형이 바뀐 경우 -

古字가 새로 출현하여 古今字가 함께 쓰이는 경우 - ,

기존의 한자에 형부가 부가된 경우 - ,

 

(2) 이체자 정리 방법

자주 쓰이는 통용자를 채택한다.(从俗)

필획이 적은 간략한 글자를 채택한다.(从简)

위 양자를 동시에 고려하기 힘들 경우从俗을 위주로 한다.

편장의 위치가 임의 이동하여 생긴 이체자 중에서는 쓰기 쉬운 것을 채택한다.

 

 

F. 한자의 형,음,의

1. 형근자 - //,///

2. 착별자 - ()门弄斧

3. 동음자 - jiā : 家加价架

4. 다음다의자 - (cháng/zhǎng), (huì,kuài)

5. 이독자 - 液体(문독:yìtǐ, 백독:yètǐ)

 

 
반응형

'중국어 창고 > 임용 중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학개론] 문제풀이 1  (0) 2021.11.18
[어학개론] 어휘  (0) 2021.11.18
[어학개론] 성조, 경성, 얼화, 감탄사  (0) 2021.11.12
[어학개론] 음성  (0) 2021.11.12
[어학개론] 중국어의 역사  (0) 2021.11.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