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한자의 성격과 특징
1. 한자의 문자적 성격
- 문자는 단순히 의미를 전달하는 부호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반드시 어떤 단위와 대응 한다.
- 한자 = 표의문자, 하나의 한자는 중국어에서 하나의 형태소와 대응한다.
- 한자 한글자의 발음은 중국어의 음절 하나와 대응한다.
- 한자 → ‘형태소문자’, ‘형태소-음절 문자’
2. 한자의 특징
① 정방형의 평면구조이다.
② 글자수가 많다.
③ 구조가 복잡하다.
④‘형,음,의’에 근거와 이치가 있다.
⑤ 한 글자는 하나의 음절, 하나의 형태소를 나타낸다.
⑥ 초시공성(超時空性)이 있다.
B. 한자의 구조
1. 한자의 구성요소
(1) 필획(笔画,笔划)
- ․ 한자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이다. (점,선)
- ․ 8가지 중요한 필형 : 점(点),횡(横),수(竖),별(撇),날(捺),도(挑/提),구(钩),절(折)
- ․ 한자는 필획 간의 조합 관계에 따라서 글자 모양이 구별된다. (ex.人,入,八)
(2) 편방,부수,부건
1) 편방
- ․ 한자의 좌우, 상하, 안팎을 구성하는 요소를 말한다. (합체자의 구성성분)
2) 부수
- ․ 부수 ⊂ 편방
- ․ 东汉의 许慎이 《说文解字》에서 9,353개의 한자를 540개의 부수에 의거하여 처음 나누었다.
- ․ 한자를 분류하거나 사전에서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 단독으로 쓰일 수 있는 편방 : 人(仁),手(提),牛(物),马(驱),水(汉),火(灯)
-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편방 : (寄), (病), (匣), (癸)
3) 부건
․ 편방을 다시 나눌 수 있는 것, 한자의 가장 작은 구성 형태소 (ex.湖= + + + )
- 头 : 상하 구조로 이루어진 한자의 윗부분.‘晨’자는‘日字头’
- 底 : 상하 구조로 이루어진 한자의 아랫부분.‘墓’자는‘日字底’
- 旁 : 좌우 구조로 이루어진 한자의 왼쪽부분.‘时’자는‘日字旁’
- 边 : 좌우 구조로 이루어진 한자의 오른쪽 부분.‘阳’자는‘日字边’
- 心 : 전체를 둘러싸고 있거나 삼면이 둘러싸인 글자에서 안쪽 부분.‘间’자는 ‘日字心’
- 框 : 전체를 둘러싸고 있거나 삼면이 둘러싸인 글자에서 바깥 부분.‘国’자는‘大口框’
- 腰 : 상중하 구조로 이루어진 글자에서 중간 부분.
- 角 : 모서리 부분.‘赢’자의 좌측 모서리는‘月字角’, 우측 모서리는‘凡字角’
2. 합체자의 구조
① 상하 구조 : 志,花,恶,要
② 상중하 구조 : 亨,冀,器,莫
③ 좌우 구조 : 词,到,流,明
④ 좌중우 구조 : 班,街,辨,彻
⑤ 완전 포위 구조 : 固,国,围,因
⑥ 반포위 구조 : 匠,同,病,远
⑦ 기타 구조 : 磊,想,冠,叠
3. 한자의 필순
① 先横后竖 : 十,干
② 先撇后捺 : 人,文
③ 先上后下 : 志,花
④ 先左后右 : 到,流
⑤ 先进后封 : 固,国
⑥ 先外后内 : 匠,同
⑦ 先中后边 : 小,办
C. 육서
- ․ 한나라 이전의 한자를 육서의 틀로 분류,귀납함
- ․ 육서에 대한 기록 - 《周礼․地官․保氏》:‘육서’명칭 등장
- 西汉․刘歆《七略》: 육서 6가지 세부항목 열거
- 东汉․许慎《说文解字․序》: 육서 각 개념과 예 제시→후대 문자학 발전의 기초
- 宋․王应《困学纪文》: 육서 순서 확립
- ․ 独体为文, 合体为字 ⇉《说文解字》: 说文 ━ 解字
1. 상형
․ 许慎《说文解字․序》“象形者,画成其物,随体诘诎,日月是也。”
상형이란 해당 사물을 그려내어 그 모양에 따라 구불구불하게 한 것으로‘日’나‘月’이 그것이다.
․ 实在的事物 → 图画
① 외형 전체를 본뜬 것 : 草,水,目,木,人
② 외형의 특징적인 일부만 본뜬 것 : 牛,羊
③ 관련 사물을 함께 본뜬 것 : 果,瓜
2. 지사
․ 许慎《说文解字․序》“指事者,视而可识,察而见意,上下是也。”
지사란 보아서 알 수 있고 살펴서 뜻을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上’나‘下’가 그것이다.
․ 抽象的概念 : 符号
① 상징적인 기호만 사용한 것 : 一,二,三,上,中,下
② 상형자에 지시부호를 더한 것 :末,本,寸,刃,甘,亦
3. 회의
․ 许慎《说文解字․序》“会意者,比类合谊,以见指挥,武信是也。”
회의란 비슷한 부류를 나란히 놓아서 뜻을 합하여 그것으로 가리키는 바를 드러내는 것으로‘武’ 나‘信’가 그것이다.
․ 意+意
① 东体会意 : 같은 글자를 두 개 이상 결합 (ex.林,森,炎,品)
② 异体会意 : 서로 다른 글자를 두 개 이상 결합 (ex.休,鸣,明,位,间,好)
③ 变体会意 : 구성 요소의 필획을 생략하거나 첨가시키는 방법으로 글자의 형체를 변화 시켜, 새로운 문자를 구성하는 방식 (ex.勞=營+力,孝=老+子)
4. 형성
- ․ 许慎《说文解字․序》“形声者,以事为名,取譬相成,江河是也。”
- 형성이란 가리키는 사물이나 일을 이름으로 삼고 비유를 취하여 서로 한데 이룬 것으로 ‘江’나‘河’가 그것이다.
- ․ 意+音, 한자의 표현력과 조자능력을 크게 향상시킴
- ․ 意符(形旁,形符,义符) : 의미 요소, 대부분 해당 글자의 부수 (예외.锦)
- 声符(声旁,音符) : 발음 요소
- ․ 省形 : 意符(形旁)의 일부가 省略된 형태로 구성 (ex.晶+生→星,殺+式→弑,高+丁→亭)
- 省声 : 声符(声旁)의 일부가 省略된 형태로 구성 (ex.火+吹→炊,口+歎→嘆,毛+高→毫)
① 左形右声 : 河,晴,财,购
② 右形左声 : 都,切,致,瓶
③ 上形下声 : 空,芳,爸,花
④ 下形上声 : 勇,盛,基,照
⑤ 外形內声 : 固,圆,闺,匣
⑥ 內形外声 : 问,闻,赢,辩
5. 전주
․ 许慎《说文解字․序》“转注者,建类一首,回意相受,考老是也。”
전주란 부류를 세워 하나의 부수로 하고 같은 뜻으로 서로 받는 것으로 ‘考’,‘老’ 가 그것이다.
․ 기존 문자의 운용 → 意味에 근거, 意味의 확대,변화,유추
․ 樂(풍류악,즐길랄,좋아할요),龜(거북귀,틀균),降(항복할항,내릴강)
6. 가차
․ 许慎《说文解字․序》“假借者,本无其字,依声托事,今长是也。”
가차란 본래 해당 글자가 없어 소리에 의존하여 나타내려는 바를 의탁하는 것으로 ‘今’,‘长’이 그것이다.
․ 기존 문자의 운용 → 소리(字音)에 근거
․ 其,来,它,然... 두 의미간의 혼동 발생
D. 한자의 변화와 변천
1. 갑골문(甲骨文)
- ․ 시기 - B.C14C~11C, 은나라 후기까지 통용
- ․ 명칭 - 거북이 껍데기, 짐승의 넓적다리 뼈 - 귀갑수골문자→갑골문
- 귀갑문자, 골각문자, 귀판문, 계문, 서계, 복사, 점복문자
- ․ 발견 - 1899년 당시 주민들이 용뼈로 오인하여 한약재료로 사용하던 것
- 왕의영, 유악 학자에 의해 대량 발굴
- ․ 내용 - 은대의 점치는 풍습에서 유래, 점친 내용을 기록
- ․ 특징 - 가장 오래된 문자체계, 상형성과 회화성이 강함, 필획이 가늘고 직선적
2. 금문(金文)
- ․ 시기 - 하은주(서주)시기에 사용
- ․ 명칭 - 청동기(吉한 금속)에 주조 : 길금문, 종정문, 명문
- ․ 용도 - 제후,장군들이 공을 세웠을 때 천자가 정 하사, 안에 공훈 기록 → 문자 연구 자료
- ․ 특징 - 필획이 갑골문에 비해 둥글고 굵음, 자형이 더 정형화 됨
3. 대전(大篆)
- ․ 시기 - 춘추전국시대(진)
- ․ 명칭 - 주문 : 서주시기 말엽 ‘주’라는 사관이 이 글자를 만들었다는 설
4. 소전(小篆): 진나라 통일 문자
- ․ 시기 - 진 통일 이후 공문 수행에 어려움 느껴 진시황이 六國의 고문(전국시기의 각각 문자 형태)폐지하고 소전으로 문자통일 단행 (제상이었던 이사 주도)
- ․ 명칭 - 진전
- ․ 특징 - 상형성 감소, 서사방법 고정, 편방 통일, 설문해자의 표제자
5. 예서(隶书): 한나라 통일 문자
- ․ 시기 - 소전 만들어지고 얼마 지나지 않아 유행, 해서 나올때까지 대표적 한자 자체
- ․ 명칭 - 隶 : 노예관리하던 하급관리들이 사용, 한무제 때 편리성 인정 공식 문자
- ․ 특징 - 소전→예서의 변화“예변”- 고문자→금문자
방형화(네모 반듯), 선조화(직선형태)
* 초서(草书) : 예서의 흘림체
6. 해서(楷书)
- ․ 시기 - 동한 후기에 출현 → 위진남북조시기에 공식문자
- ․ 명칭 - 楷 : 모범적, 표준적
- 진서(正书),정서(真书)
- ․ 특징 : 예서에서 쓰기 어려운 부분을 쓰기 쉽게 고치고 직선화, 정방형
목판인쇄에 필획이 둥근 예서보다 직선적이고 정방형인 해서가 적합했음
* 행서(行书) : 해서의 흘림체
E. 중국의 문자 개혁
1. 문자 개혁의 방향
① 보통화의 보급운동
② 한자의 간화 운동 - 필획 간소화 간화자 사용, 이체자 정리
③ 한자의 표음문자화
2. 간화자
(1) 간화자의 제정
- 1935년 교육부 <제일비간체자표>발표
- 1954년 문자개혁위원회 <한자간화방안초안>
- 1956년 국무원 < 한자간화방안> 정식 공포
- 1964년 문자개혁위원회 <간화자총표> 공포
(2) 간화의 방법
① 한자의 일부분만을 취함(생략법) - 务(務)
② 간단한 부호나 편방을 써서 복잡한 편방을 대신함(부호법) - 艺(藝)
③ 획수가 적은 동음자로 대체함(가차법) - 几(機)
④ 회의의 방법으로 새 글자를 만든 경우(회의법) - 泪(淚)
⑤ 형성의 방법을 사용한 경우(형성법) 惊(驚)
⑥ 윤곽을 따오거나 초서체를 해서화한 경우 - 为(爲)
⑦ 고체자를 택한 경우 - 气(氣)
(3) 간화자와 번체자의 대응 관계
① 1대1 대응(대다수) - 优:優, 选:選
② 1대多 대응(100여개) - 发:發/髮, 后:後/后
3. 이체자의 정리
(1) 이체자의 유형
① 간화 - 膽→胆
② 성부나 형부가 변하는 경우 - 譁→哗
③ 각기 다른 방식을 써서 한자를 만든 경우 - 磊
④ 편방의 위치가 임의로 이동하는 경우 - 峰→峯
⑤ 필획이 증감하거나 자형이 바뀐 경우 - 刊
⑥ 古字가 새로 출현하여 古今字가 함께 쓰이는 경우 - 氣,气
⑦ 기존의 한자에 형부가 부가된 경우 - 赞,讚
(2) 이체자 정리 방법
① 자주 쓰이는 통용자를 채택한다.(从俗)
② 필획이 적은 간략한 글자를 채택한다.(从简)
③ 위 양자를 동시에 고려하기 힘들 경우‘从俗’을 위주로 한다.
④ 편장의 위치가 임의 이동하여 생긴 이체자 중에서는 쓰기 쉬운 것을 채택한다.
F. 한자의 형,음,의
1. 형근자 - 己/已/巳,析/折/拆/柝
2. 착별자 - 搬(班)门弄斧
3. 동음자 - jiā : 家加价架
4. 다음다의자 - 长(cháng/zhǎng), 会(huì,kuài)
5. 이독자 - 液体(문독:yìtǐ, 백독:yètǐ)
'중국어 창고 > 임용 중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학개론] 문제풀이 1 (0) | 2021.11.18 |
---|---|
[어학개론] 어휘 (0) | 2021.11.18 |
[어학개론] 성조, 경성, 얼화, 감탄사 (0) | 2021.11.12 |
[어학개론] 음성 (0) | 2021.11.12 |
[어학개론] 중국어의 역사 (0) | 2021.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