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창고/임용 중국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중국어 창고/임용 중국어18

[어학개론] 문자 A. 한자의 성격과 특징 1. 한자의 문자적 성격 문자는 단순히 의미를 전달하는 부호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반드시 어떤 단위와 대응 한다. 한자 = 표의문자, 하나의 한자는 중국어에서 하나의 형태소와 대응한다. 한자 한글자의 발음은 중국어의 음절 하나와 대응한다. 한자 → ‘형태소문자’, ‘형태소-음절 문자’ 2. 한자의 특징 ① 정방형의 평면구조이다. ② 글자수가 많다. ③ 구조가 복잡하다. ④‘형,음,의’에 근거와 이치가 있다. ⑤ 한 글자는 하나의 음절, 하나의 형태소를 나타낸다. ⑥ 초시공성(超時空性)이 있다. B. 한자의 구조 1. 한자의 구성요소 (1) 필획(笔画,笔划) ․ 한자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이다. (점,선) ․ 8가지 중요한 필형 : 점(点),횡(横),수(竖),별(撇),날(捺),.. 2021. 11. 18.
[어학개론] 성조, 경성, 얼화, 감탄사 声调 (1) 성조란 무엇인가 声调 : 자음이나 모음과 마찬가지로 음성(말소리)을 구성하는 성분의 하나 음의 높낮이 자체 혹은 음의 높낮이 변화가 ‘의미를 변별하는 기능’을 할 때 그것을 성조라 함 성조는 의미변별 기능을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 → 대화상에서 성조를 정확히 표현해야 함 (2) 4성과 표기방법 ①5도제 성조표기법 : 음의 높낮이를 5등분하여 밑에서부터 1,2,3,4,5로 번호를 매기고, 이 번호에 각각 ‘低 , 半低, 中, 半高, 高’로 높이를 표시, 이를 바탕으로 각 성조의 시작점과 전환점 그리고 끝점을 선으로 이어서 성조를 표기하는 방법, 보통은 각 점의 숫자를 적어 성조를 표기 ② 한어병음방안에 따른 표기법 : 성조부호는 음절의 주요 모음 위에 제1성에서 제4성까지 ˉ, ˊ , ˇ , .. 2021. 11. 12.
[어학개론] 음성 음성의 물리적 성질 音高 : 소리의 높낮이, 중국어의 음성에서는 음고에 따라 성조가 달라져 의미가 구별된다. 音强 : 소리의 강약, 중국어의 경성과 비경성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음강의 차이에 의한 것이다. 音长 : 소리의 길이 音色 : 소리의 특색을 말한다. 소리와 소리를 구별 짓는 특징을 갖는다. 발음방법, 공명기 관,발음체에 따라 음색은 달라진다. 음성의 기본 개념 音素 : 최소의 음성단위, shān sh ā n 으로 세분화 할 수 있고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가장 작은 음성단위를 음소라고 한다. 음소는 보음과 원음으로 나뉜다. 辅音 : 서로 다른 부위에서 형성된 기류가 여러 가지 방해를 극복한 후 나오는 소리이다. 元音 : 기류가 구강을 통할 때 발음기관의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나오는 소리이다.. 2021. 11. 12.
[어학개론] 중국어의 역사 현대중국어 형성 한족공동어와 방언 정치적 측면: 진(秦), 한(汉), 당(唐)이 모두 서안(西安)에 수도를 두어, 雅言이나 通语는 모두 북방의 말이었고, 명대(明代)에 나온 官话 역시 北方官话区에 속함.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후에는 普通话라는 명칭이 확정됨 경제적 측면: 사회경제의 발전, 도시의 형성, 지식인과 시민문화의 상호 결합은 현실 생활을 반영하는 문학 작품의 대량 생산을 촉진시켜 백화문학 작품의 전파와 함께 관화의 보급을 촉진시킴.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개혁개방 이래로 중국 시장경제의 발전에 따라 현대 표준중국어의 응용 영역과 보급 범위 확대. 문화적 측면: 백화운동(白话文运动)은 서면어로서의 문언문의 지위를 철저히 흔들어 놓고, 국어의 통일과 보급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진행되었던 국어운.. 2021. 11.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