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차이나> 리뷰
본문 바로가기
리뷰 창고/도서, TV, 영화 리뷰

<딥차이나> 리뷰

by 똑똑소매 2025. 3. 14.
728x90
반응형

중국에 대한, 특히 마케팅 방면의 성공 및 실패 사례를 통해 중국에 대해 면밀히 알아볼수 있는 도서입니다. 

혹시 중국과 거래가 필요한 분들은 한 번 읽어보시면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중국과 거래 시, 중국어도 물론 좋아하지만 중국 문화나 사회, 정치 등 여러 방면의 배경 지식이 선행되어야 된다는 저자의 말에 극 공감합니다.

 

P.75 

중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붉은색인 홍은 중국 고대 태양신과 대지의 신에 대한 숭배에서 기원하였다.

중국에서 붉은 색은 행운, 복, 경사, 기쁨을 상징한다. 과거 봉건사회에서 정3품이내의 관리는 짙은 붉은색을 입도록했다. 그 밑으로 정6품까지는 짙은 자주색, 말단 관리는 청색이나 검은색을 입었다. 따라서 붉은색이나 자주색 옷을 입는다는 것은 '고위직으로 출세했다'는 행운과 경사를 의미한다. 중국어 표현 중 '대홍대자(大红大紫, 총애를 받아 높은 자리에 올라 크게 출세했다)'가있다. 

또한 붉은색은 황제의 최측근을 의미하여 누군가가 지도자에게 신임을 받는다면 그 사람을 '홍인(红人)'이라고 불렀다. 중국에서 신생아에게 입히는 산의(产衣), 춘절에 집집마다 대문에 붙이는 춘련(春联)까지 대부분 붉은색이다.

붉은 색은 상서로움과 길함을 의미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베이징의 자금성으로 문과 벽이 모두 붉은 색으로 되어 있다. 또한 중국의 홍바오 문화도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장례식장에서만 흰 봉투를 사용하고 세뱃돈이나 용돈 등을 줄때는 붉은색 봉투인 홍바오를 사용한다. 흰색은 주로 죽음과 장례와 연관성이 깊어서 흰 봉투를 사용한다. 경조사를 의미하는 중국어 '홍백희사(红白喜事)'에서 붉은색은 경사를 흰색은 조사를 의미하는 것이다.

 

p.187

란런경제懒人经济, 중차오경제种草经济, 야간경제夜经济, 싱글경제单身经济 등 핵심경제 트렌드가 빠르게 퍼져가고 있다.

란런경제가 시장의 변화에 따라 재해석되고 있다. 란런은 '게으른 사람'을 의미하는 중국어 표현이다. 란런경제는 2010년부터 등장한 소비 트렌드로 원래는 게으른 사람이 늘어나면서 이들을 만족시키는 상품이나 서비스 산업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중국인의 대표적인 야식인 '마라롱샤'의 민물가재 껍질을 까주는 서비스, 반려견을 산책시켜주는 서비스, 누워서 보는 휴대폰 거치대 등 매우 다양한 란런경제 시장이 형성되었다.

그런데 최근들어 부정적인 의미의 란런경제가 아니라 바쁜 일상생활의 직장인이 효율적으로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신개념의 란런경제가 확산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재확산 되면서 란런경제가 중국 소비시장의 핵심 키워드로 성장하고 있다. 란런방(懒人坊, 게으름뱅이 마을)이라는 이름으로 각종 대행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앱, 청소 대행 전문 업체 등 우후죽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업종이 생겨나고 있다. 또한 바쁜 직장인을 위한 각종 1회용 생활용품 판매와 구매를 대행하는 서비스를 하는 란런방 O2O 지역상권도 생겨나는 추세다.

 

 

 

반응형

댓글

똑똑소매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